‘솔로몬의 지혜’

 

<저자 지만원의 변>

1. 국민이 알고 있는 12.12와 5.18에 대한 역사는 완전 가짜입니다! 역사의 진실은 수사기록에 담겨있지만, 기록은 2004년 11월 11일까지 검찰창고에 숨어있었습니다. 공개된 18만쪽의 기록을 보니 그 이전에 나온 역사물들은 모두 가짜였습니다. 가짜 역사물들은 누가 만들어 확산시켰을까요? 놀라지 마십시오. 김일성이었습니다. 국가와 국민이 김일성에 놀아난 것입니다.

2. 5.18역사책을 가장 먼저 쓴 존재는 북한노동당! 1982년 및 1985년에 두 개의 책을 발간했습니다. 이에 더해 김일성은 1989년 황석영과 윤이상을 불러 북한의 5.18영화 ‘님을 위한 교향시’를 제작했습니다. 김일성은 그 대가로 황석영에는 25만 달러를, 윤이상에게는 15층짜리 ‘윤이상 음악당’을 하사함과 동시에 두 사람에게 ‘재간둥이’라는 별호를 내렸습니다. 남한에 확산된 5.18에 대한 출판물, 드라마, 영화 ‘화려한 휴가’는 북한자료들을 그대로 옮긴 것들입니다. 이 땅에 유행하는 ‘민주화’, ‘진보’ ‘신군부’라는 용어도 김일성이 개발했습니다. 국민이 김일성의 앵무새가 되어 있는 것입니다. 잠에서 깨어야 합니다.

3. 5.18은 북한이 만든 북한의 역사입니다. 5.18은 북한이 개발한 이론, 전략, 전술에 의해 기획-연출되었고, 북한의 5.18역사책들은 북한 사람들이 광주에 직접 와서 수많은 현장의 숨결까지 담아내 엮은 역동적인 작품들입니다. 광주 희생자의 대부분은 공수부대가 아니라 북한 특수군에 의해 발생했습니다. 북한은 해마다 당정 주최로 전 지역에서 며칠씩 5.18을 기념하고 희생자를 추모하며 언론이 총동원되어 적화통일 분위기를 띄웁니다, 김일성은 최고의 기계, 최고의 공장, 최고의 천리마 운동에 ‘5.18’ 호칭을 최고의 명예훈장처럼 하사했습니다. 북한은 5.18이 대남공작 역사 중 최고의 걸작이라 하고, 남한은 그것을 민주화역사라 하니 이런 비극이자 희극적인 현상이 여기 말고 어디 또 있겠습니까? 

4. 남과 북을 대표하는 두 개의 역사책 중 어느 것이 진실인지 TV화면 등에서 대결되어야 할 것입니다. 황석영은 1985년에 북한을 대변하는 5.18역사책 ‘광주 5월 민중항쟁의 기록’을 썼고, 북한에 가서 북한의 5.18영화 ‘님을 위한 교향시’의 시나리오를 썼습니다. 저자는 그보다 25년 후에 검찰기록, 북한기록, 5.18측 기록을 종합하여 ‘솔로몬 앞에 선 5.18’을 썼습니다. 어느 역사가 진실인지 솔로몬 재판을 열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해마다 5.18기념행사를 주관하는 보훈처는 이 책을 가지고 5.18이 누구의 역사인지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북한이 해마다 전 지역에 걸쳐 추모하는 ‘민주열사’들을 남한까지 따라서 추모하는 것은 부끄러운 코미디가 아니겠습니까? (동아일보20100908일자)

저자소개 : 지만원, 1942년생, 육사22기 졸업, 육군대령 예편, 미해군대학원 경영학 석사‧시스템공학 박사, 월남전 참전, 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미해군대학원 교수, 현재 시민단체 국민의함성 대표이며, 저서로 '70만경영체 한국군 어디로 가야하나'외 다수.


[덧글]

  역사란 ‘현재와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E.H.Carr)’라고 했다.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B. Croce)'라고도 했다. 이는 역사란 현재의 눈을 통해 과거를 조명하여 미래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하여 사실기록이 전제되어야하고 그 사실에 바탕이 되어 원인을 찾아 미래를 예측‧선택하는 것이다.

 

  5.18은 아직은 ‘과거’가 아닌 정권을 따라 춤을 추는 ‘현재’로 헷갈리는 ‘역사’이다. 그 만큼 ‘역사를 보는 눈’에 차이가 있음도 사실이다. ‘솔로몬 앞에 선 5.18’은 군사전문가/학자의 눈으로 그 동안의 수사기록과 남북한 발간자료, 탈북자들의 증언 등을 통해 객관적인 사실적 비교접근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북한의 5.18영화 ‘님을 위한 교향시(시나리 황석영, 음악 윤이상)’와 남한의 5.18영화 ‘화려한 휴가’를 비교‧소개도 한다.

 

  누구를 위하고 어디를 향하는 ‘임을 향한 행진곡(황석영 작사 윤이상 작곡)’인가? 무엇보다 작가는 5.18단체들로부터 ‘역사를 보는 눈(역사관)’에 대한 명예훼손으로 고소‧고발된 상태로 재판이 진행 중이다. 무료변론을 맡은 서석구 변호사는 ‘광주 5월 민중항쟁의 기록(황석영 지음,1985)’을 읽고 이 책이 가장 양심적인 것이라고 생각했었다고 한다. 황석영의 저서에 한 동안 속아온 것에 대한 자책으로 무료변론에 나섰다고 한다.

 

  이 책을 쓰기 까지 필자는 18만여 쪽에 이르는 방대한 기록들을 고무골무를 끼고 5년 이상 연구하였다고 했다. 필사적으로 쓴 책이다. 역사서는 '왜?'라는 물음 이외에도 '어디로?'라는 물음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미래를 선택하는데 솔로몬의 지혜가 필요하다.


 

'그 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0) 2010.12.13
‘책대로 하라’  (0) 2010.11.24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0) 2010.08.12
‘이름 모를 비목이여’   (0) 2010.06.06
‘客氣’  (0) 2010.05.26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왜 행복한가?

두 귀 있어 들을 수 있고

음식맛과 사랑맛과

오만가지 구슬 나오는 입

두 눈으로 보는 즐거움

몸 구석구석 퍼져 있는

세포활동, 각 다른 느낌

사랑하는 가족과

좋은 이웃이 있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나라에 사는 것.

<blog.daum.net/suok>

 

 

 

***

행복은 선택이고 습관이란다.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보인다.

난. ‘행복’바이러스에 감염됐다.

(20090121)

 

안 그래도 궁금했는데 싶으면, 보이고

보이면, 입가에 미소부터 번지는 느낌은

이 느낌은, 선택된 행운이고 축복이다.

(20100812)

 

'테레사 효과'라지요. 테레사님 연상만으로도 착해진다는,

'행복 효과'라고 부른답니다.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있다는,

언제나 보름달 보듯 설렌다는 것은 참 행복입니다.

(20110126)

'그 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대로 하라’  (0) 2010.11.24
‘솔로몬의 지혜’  (0) 2010.09.27
‘이름 모를 비목이여’   (0) 2010.06.06
‘客氣’  (0) 2010.05.26
‘심검((心劍), 선검(善劍)’   (0) 2010.02.01

 

‘이름 모를 비목이여’

 

 

           출처: system club.co.kr

 

 

비목(碑木)/한명희(韓明熙)

 

 

초연(硝煙)이 쓸고 간 깊은 계곡 양지 녘에

비바람 긴 세월로 이름 모를 비목이여

먼 고향 초동친구 두고 온 하늘가

그리워 마디마디 이끼 되어 맺혔네.

 

궁노루 산울림 달빛타고 흐르는 밤

홀로선 적막감에 울어 지친 비목이여

그 옛날 천진스런 추억은 애닲어

서러움 알알이 돌이 되어 쌓였네.

 

 

 ***

누군, 군대 가면 ‘썩는다’던데? 그대! 고맙습니다!

오늘(현충일)만이라도, 비목의 선율이 반도에 여울졌으면,

6월산하가 너무 푸르러 슬픈, 이름 모를 비목이여!

 

'그 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로몬의 지혜’  (0) 2010.09.27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0) 2010.08.12
‘客氣’  (0) 2010.05.26
‘심검((心劍), 선검(善劍)’   (0) 2010.02.01
"심심하세요?"  (0) 2009.10.16

‘客氣’


한국동란의 초기패배는

용병술에 무지한 당시 참모총장(채병덕)과 국방장관(신성모)의 무능을 들고 있으며,

특히 이들의 객기(客氣)는 돌팔이 의사의 그것을 보는 듯 슬프기 까지 하다.

1950년 6월25일 새벽 북괴군의 기습적인 남침이 있자,

3일 만에 서울을 그들에게 내주고, 계속 남하만 하다가,

유엔군의 참전과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으로 겨우 숨을 돌리게 되니,

이들은 기자회견을 한다.

신성모 국방장관은

“실지회복(失地回復, 즉 북진통일)을 위한 준비는 다 되었다.

다만 북진명령만 기다리고 있다.”라고 하였으며,

육군참모총장 채병덕은 한술 더 떠서,

“평양 가서 점심 먹고, 신의주에 가서 저녁 먹는다.”라고 했다.


거짓말이다. 

이는 사실과 전혀 다른 객기(客氣)를 부린 것이다.

북괴는 주도면밀하게 전쟁준비를 해왔으며(예, 남북전차 대비 0:120),

남침 임박해서는 ‘평화통일’의 기만전술(예, 통일총선을 위한 회담제의)을 구사,

6. 25일 일요일 새벽 4시에 기습을 감행했다.

우리는 어떠했나? 6. 25 전야만을 보자!

북괴에 대한 경계태세로 6월 11일부터 한국군은 비상경계에 들어갔으나,

6. 23일 비상경계를 해제하며,

농번기 모내기 지원 겸 절반에 가까운 일선장병들에 외출․외박을 실시하였다.

동대문구장에서는 청룡기고교야구 예선전으로 토요일을 즐기는

평화로움이 하루 앞을 모르고 있었다.

군수뇌부는 어떤가?

밤늦도록 주말 댄스파티에 취기가 가시지 않은 몽롱한 채로,

그날 새벽 4시를 맞이하지 않았는가?


초전태세는 어떤가?

"서울시민 여러분, 안심하고 서울을 지키십시오.

적은 패주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여러분과 함께 서울에 머물 것입니다.”


거짓말이다.

물론 국민의 동요를 막기 위해 서울 사수방송을 하게 되지만,

이승만 박사는 이미 27일 새벽 3시에 대구를 향해 경무대를 떠났으며,

군의 예상과는 달리 철저한 준비를 한 북괴군은 불과 개전 나흘째 되는 28일 서울에 입성하게 되며,

서울을 사수하겠다던 그들은 먼저 한강을 건넜고, 시민들은 피난도 못 가게 한강다리를 폭파하고..

이제 조금 여유가 있다고, 평양에서 점심을 먹고..객기를 부린다.


손자는 말했다.

‘善戰者 勝於易勝者也’

‘전투에 능한 자는 승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놓고 쉽게 싸워 이긴다.’라고,

전쟁은 객기가 아니라 주도면밀하게 이길 조건을 만든 후에 이기는 싸움을 하는 것이다.

‘천안호 사태’ 이후, 일련의 대응을 보면서 혹시 객기는 없나하고 유심히 주목한다. 


矜高妄傲無非客氣 뽐내고 오만한 것 중 객기 아닌 것이 없으니

降伏得客氣下而後正氣伸 객기를 물리친 뒤에야 바른 기운이 자라난다.

情欲意識盡屬妄心 정욕과 분별은 모두가 망녕된 마음이니

消殺得妄心盡而後眞心現 망녕된 마음을 물리친 뒤에야 진심이 나타난다.<菜根譚>

(20100526隅川)

 

 

 

***

60년 전에 “평양 가서 점심 먹고, 신의주 가서 저녁을 먹겠다.”고 객기를 부렸다.

그로부터 60년, ‘천안함테러조사발표’에 “검열단을 내려 보내겠다”며 허풍을 떤다.

알 만한 사람은 다 안다. 언제나 개뿔도 없을 때 객기를 부리고 허풍을 떤다는.

***

한일월드컵이 한창인 2002년 6월29일 서해교전(제2연평해전, 전사상자24명)이

‘우발적 도발(이라고 발표)’이 아님이 밝혀지고 있다(조선일보). ‘도발징후보고’가

묵살되었으며, 해군의 반격에 사격중지명령까지 내렸단다. 거짓말이 정말이 아닐까?.

(20120619)

 

'그 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0) 2010.08.12
‘이름 모를 비목이여’   (0) 2010.06.06
‘심검((心劍), 선검(善劍)’   (0) 2010.02.01
"심심하세요?"  (0) 2009.10.16
‘미소’  (0) 2009.05.03

 

 

‘심검((心劍), 선검(善劍)’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나, 그 로마는 하루아침에 망했다.

흔히 ‘로마 말기적 현상’을 얘기 할 때 얼핏 떠오르는 것은,

‘화장실의 새 깃털’ 과 ‘광란의 검투’가 아닌가 싶다.

더 먹고 더 마시기 위하여 새 깃털로 목구멍을 간질이어 토해 내고는,

다시 먹고 마시고 춤추고 성을 소비하는 향락의 로마,

검투사들의 목숨 건 싸움을 열광하는, 피에 굶주린 로마광장에 운집한 군중,

그리고 원로원, 황제까지 광기를 벌이는 이벤트,

국력, 군사력이 약해서 망한 것이 아니라 사회정의(도덕성)의 파멸이다.

‘성(섹스) 충동’ 과 ‘폭력(살인)충동’만이 난무하는 로마의 패망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프로이드(S. Freud)는 충동(libido)을 인간의 근원적이고 동기적 에너지라고 하였다.

자아(ego)라는 것도 무의식 속에 있는 충동의 발전적 형태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충동을 에로스(eros) 와 타나토스(thanatos)로 나눈다.

인간은 이 두 가지 충동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에로스는 삶의 충동으로 사랑과 성(sex)이 대표적인 표현방식이라고 한다면,

타나토스는 죽음(자살)의 충동으로 폭력을 포함한 살인, 넓게는 전쟁으로까지 표출한다.


어쩌면 극도에 이른 삶의 충동은 죽음의 충동과 다르지 않다.

기쁨의 막바지에 느끼는 절정(오르가즘)은 불어로 ‘작은 죽음(le petit mort)’이라 부른단다.

그래서인가? 우리들 언어는 ‘죽음’과 ‘기쁨(快)’을 동위(同位)로 사용하는지도 모른다.

‘좋아 죽겠다’, ‘맛이 죽여 준다’, ‘죽도록 사랑해’, ‘죽어도 좋아’...

에로스 신과 타나토스 신은 원래 하나였는가?

그래서 에로토스(Erotos, 에로스+타나토스)라고도 하는가?

그래서 사생일여(死生一如)라 하는가?


따지고 보면 세상의 모든 문제[매일 아침 신문의 사회면을 보라]는

성[에로스]과 폭력[타나토스]이 관련된 문제가 아닌가?

다른 말로 성충동과 폭력(살인)충동의 문제를 해결한다면 살기 좋은 세상이 될까?

리비도가 인간의 본질적인 에너지라고 한다면 에로스본능 만큼이나 폭력 본능에 대해서도

친근하게(우호적으로), 발전적으로 관리하여야 되지 않을까?


지구 곳곳에서 크건 작건 전투, 전쟁이 벌어지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인간의 내면에 타나토스가 잠재하고 있기 때문에 살인본능은 언제고 표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고안해 낸 것이 올림픽이고, 월드컵이 아니던가?

살인[전쟁]충동을 스포츠로 표출하도록 말이다.

프로축구, 프로야구 등은 죽음본능을 친근하게 발전적으로 관리[억제]하는 제도[프로그램]이다.

어린아이에게 작난감 칼과 총, 탱크를 사주고 병정놀이[사이버 게임]를 하게 한다.

태권도를, 검도를...다양한 운동과 스포츠를 통해 ‘살인충동’을 억제[길들이기]하는 것이다.


무사가 필요한가? 검투사는 없다. 무사의 시대는 끝났다. 

살인검은 조총의 출현만으로도 끝 난지 이미 오래다. 지금은 활인검의 시대이다.

‘머리를 치고, 손목을 자르고, 허리를 베고, 목을 찌르는’ 기술을 배워서 살인하자는 것인가?

검도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바는 평화이다.

평생을 ‘살인술’을 터득하면서 평생에 칼을 한번 사용하지 않는 ‘본능억제의 길들이기’이다.


검도정신은 충동[살인검]을 억제하는 자아(自我)길들이기[활인검]에 있다.

시기하고, 질투, 이간과 모함, 거짓, 폭력, 살인 등 사악한 마음은 타나토스이며 살인검이다.

이 같은 사악한 마음을 베어버리고 우정과 우애, 사랑, 자비, 아름다움 등의

선한 마음의 씨앗을 키우는 것이 진정한 검도의 목적이며 활인검이다.

 

맑고 밝고 아름다운 기운을 키우는 수련이 심검(心劍)이고 선검(善劍)이고,

활인검이 아닐까?

 

         이미지: e-kumdo.com

 

***

애기가 좀 걷는다 싶으면 장난감 칼, 총부터 사주지요.

제일 먼저 아빠부터 베고, 쏩니다. 인간의 전투본능이지요.

바르게 베고 자르자는 것이 검도입니다.

 

 

'그 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 모를 비목이여’   (0) 2010.06.06
‘客氣’  (0) 2010.05.26
"심심하세요?"  (0) 2009.10.16
‘미소’  (0) 2009.05.03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0) 2009.01.21

  

                                           원제 : 야구장뽀뽀타임

 

           

             "저기요, 우리 야구장에나 갈까요?"

              

              ***

              아무렴, 입맞춤만 할까?

              눈맞춤이, 손맞춤이, 발맞춤이, 칼맞춤이..

              본능일까? 학습일까?


'그 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客氣’  (0) 2010.05.26
‘심검((心劍), 선검(善劍)’   (0) 2010.02.01
‘미소’  (0) 2009.05.03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0) 2009.01.21
‘법 없이도 살 사람 - 무법자?’  (0) 2008.07.17

 

 

 

‘미소’

   

              

"서로에게 미소를 보내세요.

당신의 아내에게,

당신의 남편에게,

 

서로에게 미소를 보내세요.

그가 누구든지 그건 중요하지 않아요.

미소는 당신에게 서로에 대한 더 깊은

사랑을 갖게 해줍니다."

-테레사 수녀-

 

 

          조계사 천진불

 

***

오늘, 부처님 오신 날이랍니다.

비우고 버린다며 108배 욕심만 부렸답니다.

법당을 나오는데 애기부처님이 그래도 미소를 보냅니다(2009).

***

부처님은 통이 엄청 크신가 봅니다.

코앞에서 꽹과리 치며, ‘우상을 깨부숴야 한다.’는데,

천진하게 미소를 보냅니다(2010). 

***

누가 침묵이 말이 아니라고 하는가?

누가 미소가 언어가 아니라고 하는가?

그대 들으셨나요? 참 진리의 말씀을(2011).

 ***

成群作隊隨他轉성군작대수타전/무한한 사람들이 저(부처님)를 따름이나

幾介男兒頂額眼기개남아정액안/몇몇의 남아男兒가 정안正眼을 갖춤인고?

Countless people follow the Buddha/ But how many attained the correct-eye?

-2012부처님오신날법어(眞際 法遠)中-

***

世尊未離兜率 已降王宮 未出母胎 度人已畢 低聲低聲.

세존께서 도솔천궁을 여의지 아니하고 이미 왕궁에 내리시고,

모태에 나오지 아니하사 사람들을 제도해 마침이라 하니,

소리를 낮추고 소리를 낮추소서.

아시겠습니까? 天上天下 唯我獨尊이라./奉祝法語 중(2013)

***

               [長安萬里千萬戶 鼓門處處眞釋迦]

         마음의 고향 집집마다 문을 두드리니

         이집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오시고,

         저집에서 문수보살, 보현보살 나오시도다.

              =불기2562(2018) 석탄일 법어 =

         

 

 


'그 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검((心劍), 선검(善劍)’   (0) 2010.02.01
"심심하세요?"  (0) 2009.10.16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0) 2009.01.21
‘법 없이도 살 사람 - 무법자?’  (0) 2008.07.17
‘수구골통(?)’  (0) 2008.03.01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왜 행복한가?

두 귀 있어 들을 수 있고

음식맛과 사랑맛과

오만가지 단어 나오는 입

두 눈으로 보는 즐거움

몸 구석구석 퍼져 있는

세포활동 각 틀린 느낌

사랑하는 가족과

좋은 이웃이 있으며

봄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나라에 사는 것.

<출처 : http://blog.daum.net/suok4255/4720006>

  <이미지 : 다음블로그'행복'/장미원길> 

 

***

행복은 선택이고 습관이란다.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보인다.

난. ‘행복’바이러스에 감염됐다.

(20090121수)

'그 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심하세요?"  (0) 2009.10.16
‘미소’  (0) 2009.05.03
‘법 없이도 살 사람 - 무법자?’  (0) 2008.07.17
‘수구골통(?)’  (0) 2008.03.01
행복  (0) 2007.08.16

 

 

 

‘법 없이도 살 사람 - 무법자?’


비구름 바람 거느리고

인간을 도우셨다는 우리 옛적

삼백 예순 남은 일이

하늘 뜻 그대로였다

삼천 만 한 결 같이 지킬 언약 이루니

옛 길에 새 걸음으로 발맞추리라

이 날은 대한민국 억만 년의 터다

대한민국 억만 년의 터

<제헌절 가사, 정인보>

 


옛날, 법 없이 살 사람을 흥부 같다고 했다.

그런 사람을 착하다고 했다.

지금, 법 없이 살 사람을 놀부 같다고 한다.

그런 사람을 무법자라고 한다.

(2008제헌절)

 


***

'군주시대’는 군주 한사람이, ‘민주시대’는 민주다수가 골통이다.

학내‘종아리’엔 식겁을 떨며, 정작  ‘노조폭력’은 옹호/지원한다.

‘정의폭력’에 ‘그놈의 헌법’이 속수무책이다. ‘떨거지민주’가 싫다.

 

 


'그 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소’  (0) 2009.05.03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0) 2009.01.21
‘수구골통(?)’  (0) 2008.03.01
행복  (0) 2007.08.16
역사는 세월이 아니다.  (0) 2006.08.09

 

 

 

‘수구골통(?)’


여든아홉 삼일절에 고작,

태극기 게양하고 ‘독립군가’에 취한다.


함 취해보시지요?

[독립군가/용진가]

22955

 

(독립군가)

1.신대한국 독립군의 백만 용사야/ 조국의 부르심을 네가 아느냐

삼천리 삼천만의 우리 동포들/ 건질 이 너와 나로다.

2.원수들이 강하다고 겁을 낼 건가/ 우리들이 약하다고 낙심할 건가

정의의 날센 칼이 비끼는 곳에/ 이길 이 너와 나로다.

3.너 살거든 독립군의 용사가 되고/ 나죽으면 독립군의 혼령이 됨이

동지야 너와 나의 소원 아니냐/ 빛낼 이 너와 나로다.

(후렴)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나가 나가 싸우러나가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 싸우러 나아가세


(용진가)

1.요동만주 넓은 뜰을 쳐서 파하고/ 여진국을 토멸하고 개국하옵신

동명왕과 이지란의 용진법대로/우리들도 그와 같이 원수 쳐보세.

2.한산도의 왜적을 쳐서 파하고/청천강수 수병 백만 몰살하옵신

이순신과 을지공의 용진법대로/우리들도 그와 같이 원수 쳐보세

3.배를 갈라 만국회에 피를 뿌리고/육혈포로 만군 중에 원수 쏴 죽인

이준공과 안중근의 용진법대로/우리들도 그와 같이 원수 쳐 보세

(후렴)나가세 전쟁장으로 나가세 전쟁장으로/검수도산 무릅쓰고 나아갈 때에

독립군아 용감력을 더욱 분발해/삼천만 번 죽더라도 나아갑시다.

(20080301토)

 

***

웬 모임에서 ‘독립군가’를 제꼇었다는,

뜻밖의 ‘앵콜’에,

수구골통인가? 좌파푼순가?

 

'그 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소’  (0) 2009.05.03
블로그를 열면 ‘행복’이   (0) 2009.01.21
‘법 없이도 살 사람 - 무법자?’  (0) 2008.07.17
행복  (0) 2007.08.16
역사는 세월이 아니다.  (0) 2006.08.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