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輪書(空) : ‘검의 길은 道理이다’⑤
미야모도 무사시(宮本武藏)가 오륜서를 저술한 것은 1643년 그가 죽기전,
나이 耳順이 되던 해였다.
운암사(雲巖寺)라는, 후미진 조그만 암자에서
관음보살을 모시고 求道중이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젊은 시절에 생사를 넘나드는 검객으로서,
난세의 낭인으로서, 급변하는 세상을 접하면서 살인검의 한계를 절감했으리라,
그러면서 ‘검은 나이 먹어가는 인생’임을 터득 했는지도 모른다.
검의 길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 활인검(엄한 자기 통제와 수양)으로서의 구도자의 길이 아닌가 -
관세음보살에 합장하면서 ‘耳順(이순)의 劍’이 ‘空’이었음을 깨달은 것이다.
그는 ‘空’을 서술했다.
“공이란 아무것도 없고, 인간이 알 수도 없는 경지를 의미한다.
사물의 이치를 깨달았을 때 비로소 이치가 없는 바를 깨닫는다.
이 아무것도 없는 것이 공이다.”
“무사는 병법의 도를 확실히 깨닫고 무예를 익혀서
바람직한 무사의 길을 명백히 잘 이해하여 혼란을 겪지 않도록 한다.
항상 부지런히 지혜와 힘을 갈고 닦아 마음의 눈을 맑게 하며
한 점 구름이나 거리낌 없는 깨끗한 상태야말로
참된 공의 모습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참된 도리를 모를 때는 불교의 가르침이건 세상의 법칙이건
모두 자신만이 바르다고 착각하기 쉽다.
세상의 기준에 비춰봤을 때
개개인의 마음과 견해가 비뚤어졌을 때는 옮은 길을 걸을 수 없다”
“올바른 정신을 근본으로 삼고 진실한 마음을 깨달아
병법을 폭넓게 실행하고 바르고 분명하게 대세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空이 道理요, 道理가 空임을 안다”
“空에는 善만 있을 뿐, 惡은 없다.
병법의 지혜, 병법의 도리, 병법의 정신, 이 모든 것을 갖춤으로서
일체의 집념에서 벗어난 공의 참경지에 도달 할 수 있는 것이다.”
최고의 칼 솜씨는 莊子이다.
趙文王은 칼싸움 경기를 투계(鬪鷄)의 싸움을 보듯이
좋아함이 지나쳐 장수들의 사상자만도 한해에 100여명을 넘으니
신하들이 근심되어 莊子를 맞아 문왕의 검술취미를 버리도록 한다.
문왕 : “...세가지 칼이란 무엇이오?”
장자 : “천자(天子)의 칼, 제후(諸侯)의 칼, 서민(庶民)의 칼입니다.”
“...서민의 칼은 살기에 차있어 한 번 올려치면 상대의 목을 자르고, 내려치면 상대의 창자를 자름이, 마치 투계가 싸우는 것 같습니다. 이런 칼은 나라를 위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듣자하니 대왕께선 천자의 지위에 계시면서 비천한 서민의 칼싸움놀이에 매혹되어 있다니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문왕이 ‘왕의 道理’(깨달음)를 찾음은 물론이다.(莊子, 雜篇;‘說劍’)
오늘날 검도의 진정한 의미는 어디에서 찾을까?
'五輪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륜서(風) : ‘검술의 비법은 없다’④ (0) | 2006.06.27 |
---|---|
오륜서(火) : ‘결심한 싸움은 이겨야 한다’③ (0) | 2006.06.20 |
오륜서(水) : ‘물 흐르듯 하라’② (0) | 2006.06.12 |
오륜서(地) : '좌우명을 지녀라' (0) | 2006.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