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警文⑥ : 6.소제욕심(掃除慾心):욕심을 버림
自警文⑥ : 6.소제욕심(掃除慾心):욕심을 버림(84)
財利榮利 雖得掃除其念 若處事時 有一毫擇便宜之念 則此亦利心也 尤可省察
재리영리 수득소제기념 약처사시 유일호택편의지념 칙차역이심야 우가성찰
“재물을 이롭게 여기는 마음과
영화로움을 이롭게 여기는 마음은
비록 그에 대한 생각을 쓸어 없앨 수 있더라도,
만약 일을 처리할 때에
조금이라도 편리하게 처리하려는 마음이 있다면
이것도 또한 이로움을 탐하는 마음이다.
더욱 살펴야 할 일이다.”
作人 無甚高遠事業, 擺脫得俗情 便入名流,
작인 무심고원사업, 파탈득속정 변입명류,
爲學 無甚增益工夫, 減除得物累 便超聖境.
위학 무심증익공부, 감제득물루 변초성경.
“사람됨이 뛰어나게 위대한 일은 못 하더라도,
세속의 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명사라 할 수 있으며,
학문을 함에 있어 뛰어나게 공부하지 못하더라도,
물욕을 마음에서 덜어 낼 수 있다면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菜根譚)
간디의 신발에 얽힌 일화이다.
간디가 다음 강연시간에 쫓기어 서둘러 막 기차에 올랐을 때였다.
신발 한짝이 벗겨져 플랫폼에 떨어졌다.
기차는 이미 움직인 터라 손쓸 겨를이 없었다.
그러자 간디는 다른 한짝을 벗어 떨어진 신발 곁으로 던졌다.
이상하게 생각한 주변사람이 나머지 신발을 벗어 던진 연유를 물었다.
간디는 대답했다.
“신발은 두짝이 있어야 합니다. 신발 한짝을 주워선 쓸모가 없지요. 다른 한짝도 주워야 제대로 신고 다닐 수 있겠지요.”
간디 같은 분이나 할 수 있는 일일까?
“오 사랑의 주님 ,
존경받으려는 욕망으로부터,
사랑받으려는 욕망으로부터,
칭찬받으려는 욕망으로부터,
찬양받으려는 욕망으로부터,
선택받으려는 욕망으로부터 ,
명예로워지려는 욕망으로부터 ,
인기를 끌려는 욕망으로부터,
모멸받는 두려움으로부터,
사랑받으려는 두려움으로부터,
질책당하는 두려움으로부터 ,
비난당하는 두려움으로부터 ,
잊어지는 두려움으로부터,
오류를 범하는 두려움으로부터,
우스꽝스러워지는 두려움으로부터,
의심받는 두려움으로부터,
자유하게 하소서.”(마더 데레사)
검도의 제일(第一) 적(敵)은
내안의 욕심(慾心)이다.
마음을 항복(降伏)받아야 한다.
사악한 내 마음을 베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