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謹次銀礦(其六十六)/趙秀三韻: 은광을 차운하다>
隅川정웅
2025. 3. 7. 20:08
<謹次銀礦(其六十六)/趙秀三韻: 은광을 차운하다>
-은광
銀山可難測(은산가난측) 은광은 예측하기가 어렵거늘
戶戶鑛如泉(호호광여천) 집집마다 마치 광천 같다네.
夫婦田耕不(부부전경부) 부부가 밭을 갈지 않더라도
圖生似昔年(도생사석년) 먹고살기 지난해와 다름없네.
(20250302隅川정웅)
*銀山: 은광(銀鑛) *戶戶: 집집마다 *鑛泉: 광물질이 들어있는 샘 *田耕: 밭갈이
*田耕不: 不田耕의 도치(倒置) *圖生: (먹고) 살기를 도모함
[其六十六銀礦/趙秀三(1762-1849)]
嵌槽承刳木(감조승고목) 산골 개천에 나무를 깎아 만든
礦戶夾山泉(광호협산천) 광부들 집은 산속의 샘물가에 있네.
男婦不耕織(남부불경직) 부부가 농사나 길쌈을 하지 않아도
溫飽三百年(온포삼백년) 옷과 밥이 넉넉했던 삼백년이였네.
***
연산군일기(1503년 6월 13일)에 따르면,
김감불과 김검동이 연은분리법(연철을 화로에 녹여 은을 골라내는 방법)을 시연.
연산군은 “이제 은을 넉넉히 쓸 수 있다(銀可足用)”면서 흡족해했다고,
함경도 단천에서 연은분리법으로 은을 캐도록 지시했다고.
=출처: 파이낸셜 리뷰(2025.01.10.)
嵌槽承刳木 礦戶夾山泉 男婦不耕織 溫飽三百年
●○○●● ●●●○◎ ○●●○● ○●○●◎ [先字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