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慕情

<求道 : 구도>

隅川정웅 2024. 1. 7. 21:47

<求道 : 구도>

 

哀懷之背影(애회지배영) 애처로운 뒷모습이라니

下腿豈病衰(하퇴기병쇠) 종아리는 얼마나 병약한지

肖像如菩薩(초상여보살) 내 어머니 같은 초상이라

洗盂何不爲(세우하불위) 내 어찌 설거질 마다하리

(20240108隅川정웅)

 

*哀懷: 슬픈 생각을 품음, 슬픈 회포(懷抱) *背影: 뒷모습 *下腿: 종아리 *病衰: 병에

시달려 몸이 쇠약(衰弱)함, 병약(病弱) *肖像: 그림 따위에 나타낸 사람의 얼굴이나 모습

*菩薩: ‘내 어머니의 별칭(別稱)’ *洗盂: 주발(식기)을 씻다. ‘설거지(하다)’

 

[형식] 오언절구 [압운] 支目: 衰, 爲

[평측보] ○○○●● ●●●○◎ ●●○○● ●○○●◎

 

다음이미지검색

 

‘도道란?’

 

길이요

이치理致요

인의仁義요

덕행德行이요

깨우침이라

 

공자는

‘己所不慾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이라고

“내 싫은 일을 남에 시키지 말라”하시니

 

말을 바꾸면

‘남이 싫어하는 일을 내가 솔선한다’고라

 

‘설거지’로

깨우쳐 봄직도

-여시아문

(2024)

*‘己所不慾 勿施於人’/ 論語<顔淵篇>

 

***

헌데,

라면 안 먹는다고 해놓고서는

다 끓이면 젓가락 들고 덤빈다

아주 정말 진짜로, 얄미움은?

 

▶ [유머] 못 들은 척

https://www.youtube.com/shorts/G8KNuBvqGj0?feature=share